728x90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함수 중 DATE 함수와 EDATE 함수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들이 엑셀로 실무를 처리할 경우 만료일 등을 기록해두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경우 DATE함수와 EDATE함수를 통해 엑셀 수식을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DATE함수와 EDATE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1. DATE 함수
DATE 함수는 년, 월, 일이 따로 적혀져 있는 경우 한번에 날짜로 변환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
1) DATE 함수 수식
DATE 함수의 수식은 =DATE(YEAR,MONTH,DAY)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DATE 함수 예시
아래처럼 연, 월, 일이 다른 시트에 있는 경우 DATE함수를 통해 B6과 같이 하나의 날짜로 만들 수 있습니다. 연 월 일의 순서로 DATE함수를 작성하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3) DATE 함수 주의사항
다만, DATE 함수를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이상한 숫자로 보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우측 상단에 보이는 일반을 날짜로 변경해주면 우리가 볼 수 있는 날짜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EDATE함수
EDATE 함수는 주로 만료일을 표현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1) EDATE 함수 수식
EDATE함수의 수식은 =EDATE(시작 날짜, 기간)으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2) EDATE 함수 예시
아래와 같이 유통기한이 9개월인 제품의 유통기한 만료일을 구하고자 할 때 =EDATE(B4,C4)를 적용하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728x90
'엑셀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체크박스 만들기 (0) | 2023.10.10 |
---|---|
엑셀 E+숫자 표시 해결법 (1) | 2023.10.08 |
직장인엑셀 엑셀 달력 엑셀 타임테이블 D-DAY 설정 (0) | 2023.08.08 |
엑셀 함수 공백 줄바꿈 제거 TRIM함수 CLEAN함수 (0) | 2023.08.04 |
엑셀 중복값 제거 중복값 찾기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