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칙센트 미하이의 몰입의 즐거움이라는 책에 대해서 리뷰하려고 합니다. 몰입의 즐거움이라는 책은 많은 대학생들에게 필독도서로 선정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어 몰입의 즐거움을 읽기 전 참고로 이번 포스팅을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1. 몰입이란
몰입의 즐거움의 저자 칙센트 미하이가 이야기하는 몰입이란 어떤 것일까요?
1) 몰입의 정의
저자인 칙센트 미하이는 몰입이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고 합니다. 열심히 운동하고난 후에 오는 쾌감이나 취미생활에 빠져 집중할 때 나오는 보람이나 성취욕 등이 그것입니다.
2) 몰입의 중요성
다른 사람에 비해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어도 성공한 사람이 될 수는 없다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실력이 좋아도 열정이나 흥미가 없는 일을 한다면 오랫동안 일을 유지할 수 없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당장 잘하는 일이 없다고 포기하기보다는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서 최선을 다해 몰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2. 완벽한 몰입
그렇다면 우리는 언제 완벽한 몰입에 빠져들 수 있을까요?
1) 자신에게 맞는 목표의 설정
우리는 스몰 석세스라고 불리는 작은 목표들을 끊임없이 설정해두어 가시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들을 계속 만들어야 하낟고 합니다. 지치지않고 큰 성공으로 가기 위해 작은 성공들이 이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하고 점차 하나씩 성장해나가야 한다고 합니다.
2) 자기 수준에서 최대의 난이도 설정
저자는 몰입 단계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력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난이도의 업무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자신의 실력보다 너무 높은 수준의 난이도의 업무를 할 경우 금방 지치고, 포기하게 된다고 합니다. 거꾸로 자신의 실력에 비해 한참 부족한 난이도의 업무를 맡게되면 금방 지루함을 느끼고 몰입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3) 더닝크루커 효과
더닝크루거 효과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반대로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우리는 이런 인지편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수준을 명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몰입의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몰입하는 방법
그렇다면 몰입을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질보다는 양
자기 수준보다 낮은 난이도의 업무를 하게 될 경우 우리는 질보다는 양이라는 생각으로 많은 양의 업무를 가져가면 쉽게 몰입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낮은 난이도의 업무라고 할지라도 그 일이 점차 증가하게 되면 난이도 자체가 증가하기 때문에 우리는 몰입에 빠져 업무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페이스 조절
반면 자기 수준보다 높은 난이도의 업무를 한다면 우리는 양을 조금 포기하더라도 자신이 이해하고 몰입할 수 있을 정도로 업무의 페이스를 낮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나씩 차근히 어려운 업무를 접근해나가며 업무에 익숙해질 때까지 그 속도를 느리게 가져가는 것이죠.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 2024 독후감 리뷰 요약 (2) (0) | 2024.01.21 |
---|---|
트렌드 2024 독후감 리뷰 요약 (1) (1) | 2024.01.20 |
행복의조건 리뷰 독후감 요약 (0) | 2024.01.14 |
알랭드보통 불안 리뷰 독후감 요약 (1) | 2023.12.31 |
에리히 프롬 사랑의 기술 요약 리뷰 독후감 (0) | 2023.12.25 |